사업관련

[디자이너] 외주비용 견적을 얼마를 받아야 할까? designer pay

게으른버터 2021. 9. 6. 00:53
반응형

[디자이너] 외주비용 견적을 얼마를 받아야 할까? designer pay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프리랜서 디자이너분들이 보면 좋을 컨텐츠입니다.

외주 의뢰가 들어오면 항상 고민되는 것이 있죠?

 

얼마를 받아야 할까?

 

의뢰자 입장에서도 같을겁니다. 얼마를 줘야할까?

마치 창과 방패의 싸움과도 같은 기싸움이 벌어지죠

 

이런 고민을 어느정도 해결해줄 유튜브 영상이 있어서

내용을 들고와 봤습니다.

 

디자이너 임금의 최저비용이 얼마일까?

 

KODIA라고 한국디자인 산업연합회에서는

매년 디자이너 등급별 노임 단가표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해당 디자이너 등급별 자격 기준은 아래와 같다.

디자이너 등급별 자격 기준은 디자이너 등급, 경력 및 학력, 자격기준 등급으로 구성됐다.

 

보조 디자이너는 1년 이상 4년 미만,

초급 디자이너는 4년 이상 8년 미만,

중급 디자이너는 8년 이상 12년 미만,

고급 디자이너는 12년 이상 16년 미만,

특급 디자이너는 16년 이상 20년 미만,

총괄 디자이너는 20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기준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위의 표는

1인이 1일을 일했을 때의 기준이다.

다만 이표를 보고

어라!!??

그럼 "작업일수X임금기준"으로 산출하면 되겠네??

라고 뭉뚱그려 생각하신분은 큰 오산입니다.

 

견적이라는 것이 그렇게 쉽게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고려할 요소가

미팅, 아이디어구상, 스케치, 샘플 구입, 인쇄비, 교통비, 유류비 등등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너무나 많다.

 

최저 견적 예시

그래서 예를 들어 한번 설명해보자.

아직 사회초년생인 보조디자이너등급의 디자이너가

포스터 디자인 견적을 짜본다라고 가정해보자.

 

포스터 디자인 프로젝트는 비교적 다른 디자인들에 비해 단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데

이같은 경우 일단위가 아닌 시간 단위 계산법이 더 편리하다.

시각디자이너를 기준으로

보조의 일 단가가 114,327원이다

이를 8시간인 하루업무기준 나누면

114327/8= 시급 14,290원이 된다.

 

시간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조금 생소할 수도 있지만

외국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 디자이너 할 것 없이

견적을 산출 할 때 Hourly Rate(시간당 비용)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자 그럼 이제 포스터 디자인 하나를 뽑아내는데 필요한 시간을 역으로 산출해 봅시다.

 

1.미팅(시작, 시안, 마무리 미팅 3회) - 3시간

여러분이 클라이언트를 직접만나던 비대면으로 만나던 컨콜을하던

그 시간 역시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시간의 일부입니다.

 

2.리서치( 사례조사, 레퍼런스 방향성 잡기) - 3시간

사례조사 레퍼런스조사

만약 내가 이자료를 나 혼자 보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한테 PT로 정리해서 보여줘야 한다면 PT를 작성하는 시간도 추가하시면 됩니다.

 

3.Ideation, 스케치 (아이디어 구상, 스케치 작업) - 5시간

 

4. 시안 작업( 실제 디자인 작업 완전히 다른 3개의 시안 기준) - 9시간

 

5. 인쇄 샘플 (포스터 샘플 1장 인디고 인쇄기준 데이터접수, 택배or픽업비 포함 )- 3만원

클라이언트가 디지털이 아닌 실제 인쇄 샘플을 원할 경우 샘플비 추가

 

6. 수정 (2회 수정기준 ) - 4시간

수정횟수는 미팅단계에서 미리 정하는것이 좋다.

 

TOTAL

미팅 3시간

리서치 3시간

스케치 5시간

시안 9시간

수정 4시간

=24시간 딱 하루네요

 

24시간 X 14,920원

=342,960원 + 샘플인쇄 3만원

> 총 372,960 원

자! 이것이 보조디자이너가 받는 최소의 견적입니다

최소!최소!

물론 작업의 난이도, 시안 갯수 등에 따라

소요 시간(견적)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여기서 추가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7. 유류비 ( 클라이언트와 내가 다른 도시에 있을때 미팅, 감리 등으로 장거리를 이동할 때 유류비나 교통비 추가)

8. 샘플비 (제품 타겠팅, 샘플 명목으로 구입하는 품목(프로젝트 잔금시 청구하는 것이 보통)

9. 체류비 ( 업무로 인해 타지역에 체류를 하거나 머물러야 할 경우 식대+숙박비 1박기준 최소 10만원)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핵심 사항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계약서

 

이건 백번 강조해도 모자랍니다...

저도 열심히 내돈 써가면서 일하고 400만원 뜯긴적 있습니다.,.

퀸* 오리고기업체!!.... 후 아직도 화가나네요ㅂㄷㅂㄷ

지인이 다니는 회사라 믿고 계약서 없이 일한게 화근이었습니다..,

 

여러분 선배, 지인 절대로 믿지마세요..

선배가 후배찾는 이유는 뭐다??

이끌어 주려고?? 세상은 그렇게 아름답지 않습니다.

이유는 싸니까입니다... 그냥 얕게 아는 선배일은 그냥 거르세요....

대부분 급박한일이며, 깔끔하지 못하며 견적 후려치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화장실 가기전과 갔다온 후 사람의 표정이 싹 바뀝니다.

작업완료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했다면, 클라이언트는

내가 굳이 돈을 줘야 하나? 라는 생각이 스믈 스믈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이건 인간이란게 간사해서 어쩔수 없습니다.

계약서가 없으면 여러분이 빡빡 때써도 돈을 받아 낼 수가 없습니다.

왜? 계약한 근거가 없으니까!

 

디고디 원찬님 카페자료실에 계약서, 견적서 , 종류별로 있다하니

꼭 받아서 안전한 디자인 외주해서 돈많이 버세요!

 

계약서, 견적서 다운로드

https://cafe.naver.com/dgod

 

 

디고디원찬 [디자이너의 고민을 들어주... : 네이버 카페

디자이너,일러스트레이터,창작자들의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 견적서/계약서/포트폴리오/취업/창업/고민상담

cafe.naver.com

 

 

본문 참조한

해당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Zvijd0Ac4cw 

 

 

반응형